한동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과정, 논문을 쓰나요?
안녕하세요?
행복찾아 행솜이입니다!
지난 1년간 대학원생활에 매진하며 열심히 살았더니
2022년이 금새 지나가 버렸네요.
한동대학교 상담대학원에 대한 정보가 많이 없어 정보를 얻기 위해
제 블로그를 찾아 주시는 분들이 꽤 계시는 것 같아요.
오늘의 주제는
한동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과정
'논문을 꼭 써야 하는가?' 입니다.
결론부터 말씀드리면
NO
입니다.
2023년 현재 한동대학교 상담대학원은
졸업 요건에 논문 작성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요.
한동대학교 상담대학원 졸업요건은
학점+졸업시험+세미나참석+기타 상담관련 역량(교육분석, 공개사례발표회, 독후감 등)
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
위 조건만 충족하면 졸업을 할 수 있답니다.
한국상담학회, 한국심리상담학회
2급 자격증 요건에도
논문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.
그럼에도 불구하고
저는 논문을 작성하고 있는데요.
그 이유는 다음 세 가지랍니다.
1. 기왕 석사 시작한 것 제대로 공부해 보자
2. 혹시 박사를 하고 싶을 수도 있으니까
3. 향후 나의 커리어(강의, 저술 등)에 관련 논문이 도움이될 수 있으니까
사실 논문을 쓰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닌데요
정보의 홍수 속에서 필요한 자료를 찾고
그 자료를 적절히 구조화하고,
설문 및 연구자료를 분석하는 일들은
하루 아침에 되는 것이 아님을 알게되었답니다.

정말 감사한 일은
저처럼 논문을 쓰고자 하는 학우들이 있고,
열정 가득하고 후학양성에 진심이신
교수님이 논문 지도를 해 주시고 계시단 점이에요.
현재는 간단한 논문작성 팀을 꾸려서
교수님의 지도를 받으며
공동저자로 논문을 작성하고 있는데요
2023학년도 부터는 상담대학원의
학회활동 중 하나로 운영을 할 예정이에요.
열정과 끈기가 있는 후배 학우들이 많이 들어오셔서
함께 하면 너무 좋을 것 같아요!
비록 힘들고 고된 일이지만
논문을 작성함으로 인해서
해당 분야에 대해 지식이 깊어지고
이를 상담에 더 잘 적용할 수 있는
계기이자 과정이 되는 것 같아요.
그래서 1급 자격증을 위해서는
박사학위나 논문이 필수인 것 같네요!
논문을 작성 중이신 모든 학생분들께
좋은 결과가 있으시길 바라며
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.
화이팅!!

'SELF GROWTH_상담사가 되는 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심리공부] MBTI: 나와 너의 성격 차이, 그 이유는? (0) | 2023.02.16 |
---|---|
한국심리상담학회 준회원 자격충족요건 주의사항 (0) | 2022.12.27 |
[대학원 생활] 한동대학교 상담대학원 인턴_내담자 구하기 (0) | 2022.12.03 |
한국상담학회 VS 한국상담심리학회 어디를 가입해야 할까? feat.상담사 자격증, 한동대학교 상담대학원 (0) | 2022.04.30 |
[대학원 준비] 한동대학교 상담대학원 최종 합격자 발표 및 등록금 (5) | 2021.12.14 |